연방법원은 사라 실버만을 포함한 13명의 저자들이 제기한 메타에 대한 저작권 소송에서 메타에 유리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판사는 저작권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원고들이 메타의 언어 모델 사용이 재정에 피해를 준다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소송이 정식 재판에 이르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연방법원 판사 빈스 찹리아(Vince Chhabria)는 사라 실버만(Sarah Silverman)을 포함한 13명의 저자들이 메타(Meta)를 상대로 자사 대형 언어 모델을 저자들의 출판물로 허락 없이 훈련했다고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메타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그의 법원은 메타에 대해 요약 판결을 내렸으며, 이는 사건이 정식 재판에 이르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찹리아 판사는 원고가 메타의 사용이 그들의 재정에 피해를 줄 것이라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후 메타가 저작권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문에서 찹리아 판사는 대부분의 경우 저작권 보호 자료를 허가 없이 대형 언어 모델에 제공하는 것이 불법임을 인정했습니다. “…저작권 있는 작품으로 생성 AI 모델을 훈련하는 것은 종종 그 작품들의 시장을 크게 훼손시켜서, 인간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창작하는 인센티브를 크게 저해할 수 있다”고 그가 썼습니다.
그러나, 판사는 “법원은 당사자들이 제시한 증거에 근거하여 사건을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특정 사건에서 원고는 메타의 행동이 “공정 사용”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들은 메타의 LLM인 라마(Llama)가 그들의 책에서 작은 텍스트 조각을 재생산할 수 있기에 그들의 창작물이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메타가 승인 없이 그들의 책을 훈련에 사용함으로 인해 자신들의 작품을 LLM 훈련에 대한 라이센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판사는 두 가지 주장 모두 “명백한 패배자”라고 평가했습니다. 라마는 책에서 문제될 만큼 많은 텍스트를 직접 생성할 수 없으며, 저자들은 “AI 훈련 데이터로서의 작품 라이센싱 시장”에 대한 권한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찹리아 판사는 메타가 그들의 책을 복사해 유사 작품들로 시장을 넘치게 함으로써 시장 희석을 초래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는 주장은 원고들에게 승리를 안겨줄 수 있었다고 적었습니다. 그러나 원고들은 이 주제를 거의 다루지 않았고, 메타의 LLM 출력이 시장을 어떻게 희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찹리아는 그의 결정이 제한적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소송에 포함된 13명의 저자에게만 영향을 미치며 “메타의 언어 모델 훈련을 위한 저작권 자료 사용이 적법하다는 주장을 제기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판사인 윌리엄 알수프(William Alsup)도 최근 어떠한 저작권 있는 작품을 허가 없이 사용한 혐의로 회사와 소송을 제기한 작가 그룹이 상대로 한 반려된 주장에 대해 인트로픽(Anthropic)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알수프는 작가들에게 해적행위로 인해 인트로픽을 법정에서 다투도록 허락했습니다.
※출처: Engadget